Cathie Wood -35%

Lee Hojin
4 min readMay 8, 2021

--

ARK 현재상황

ARKK 157불에서 109불로 35%가량이 하락했다.

가치 투자의 대표인 BRK(버크셔 헤셔웨이)와 비교하면 수익률이 반대로 가고 있다.

돈나무(캐시 wood)대신 원자재인 나무(wood) 가격은 엄청 오르고 있다.ㅋㅋ

ㅋㅋㅋㅋ 엄청 조정 받고 있는 가운데 “I LOVE THIS SET UP!!”. 너무 bull한것만 좋은게 아니야. 거품이 폭발할 수 있으니.. Rotation으로 인해서 조정받는거니 걱정 ㄴㄴ. 조정 받았으니 더 오를꺼야. 아직 5년동안 바뀐건 주가밖에 없어.

경제 현재상황

아마 인프라 투자 때문에 기존의 인프라 관련주가 상승했고, 자본 이득세 때문에 엄청 오른 성장주 같은경우엔 팔았지 않았을까 예상해본다.

법인세가 오르는 이슈가 있으면, 영업이익이 큰 회사들이 타격을 입을텐데,구글 같은 회사는 ATH이고,아직 돈을 못버는 성장주들은 왜 조정을 받았을까?

M2 증가의 가속도는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기저효과 때문에 원자재의 가격이 급등하는것이지, 아직 인플레가 온다고 단정할 수 있는 신호는 없다.

고용이 기대보다는 회복이 더디다.

돈을 계속 뿌리니, 근로 의욕이 저하되고 있는것같다.

job은 생각보다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 않는데, S&P 500의 EPS는 회복을 넘어서 급격하게 증가중이다.

어떻게 고용이 줄었는데, 기업들의영업 이익은 늘은 것일까? 결국 양극화의 길로 이미 가고 있는것일것같다.. 기업들은 코로나 혁신을 통해 untact로 바뀌었고, 기존 contact노동자들의 일자리는 사라진것같다. 아마 payroll이 끊키면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질것이다. 어쩌면 벌써 기본소득이 도입된걸지도…

EPS를 보았을때 현재의 S&P 4200은 합당한것같다. 낮은 금리를 생각해보면 더 오를 수도 있을것같다. ARK가 투자하는 기술/혁신주의 주가가 내려간것은 rotation의 영향인것같다.

원자재 가격이 상승 추세인데, 아마 단기적이지 않을까? 경제가 회복되기 때문에 원자재가격이 오르고 있는것이지 인플레이션은 아닐것같다.

디플레이션이 올것이다

헬스케어, 배터리, 산업등등에서 가격들이 떨어 질것이다.

기존 회사의 Risk

새로운 산업에 투자하지 않았던, S&P의 50%회사들이 위험하다.

파괴적인 혁신에 파괴당할것이다.

디플레이션에 거는건 위험대비 수익률이 좋을것같다.

--

--

No responses yet